인생은 너무 비효율적이다
|일은 부닥쳐 가면서 배우는게 아닐까? 에서 깨닫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 얘기했는데, 결국 다른 사람들이 오래전에 애기한 것들을 또다른 사람들이 그러하듯이 나도 깨달아 가는 전철을 반복하고 있는 것 같다.
옛말에, ‘부모가 되어봐야 부모 마음을 안다’. ‘부모에게 효도하려고 보면 보모가 돌아가시고 안계신다’ 등등이 있다. 정말 그 상태/위치/역할이 되어야 봐야 깨달을 수 있고, 그 때는 항상 늦었다.
그 주옥같은 원리나 원칙, 성현의 말씀 같은 것을 보고, 안 해봐도 척 보고 그것을 깨달을 수는 없을까? 보리수 나무 아래로 가야 하나?
거참, 인생이 너무 비효율적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조물주나 신이나 뭐 그런 존재는, 군대에서 시간 떼우기 위해서 삽질을 시키는 것 처럼, 인생을 그냥 살게 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태어나서 죽을 때 까지 이렇게 다른 사람들의 전철을 반복시키는 것은 아닐까?
일부 글에 제휴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트너스 활동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추천 글
건강투캘린더
애플 건강기록을 캘린더 일정으로 가져와 캘린더에서 시간순으로 건강기록 보기
애플 건강기록을 캘린더 일정으로 가져와 캘린더에서 시간순으로 건강기록 보기
4 Comments
읽고 보니 정말 그렇군요. >_<
읽고 보니 정말 그렇군요. >_<
앎의 종류와 깊이도 다양하지 않을까요.
머리가 아는것, 마음이 아는것, 그냥 아는것, 뼈에 새기는것…
그리고, 옌날 학교 댕길때
어려운 수학문제를 답안 해설보고 이해하는거 보다는
몇시간 걸리더라도 혼자 풀어냈을때 째끔 더 뿌듯했었던것도 같구요.
효율보다는 즐거움 측면에서 … 삽질은 유익한거 같어요. ㅎ
앎의 종류와 깊이도 다양하지 않을까요.
머리가 아는것, 마음이 아는것, 그냥 아는것, 뼈에 새기는것…
그리고, 옌날 학교 댕길때
어려운 수학문제를 답안 해설보고 이해하는거 보다는
몇시간 걸리더라도 혼자 풀어냈을때 째끔 더 뿌듯했었던것도 같구요.
효율보다는 즐거움 측면에서 … 삽질은 유익한거 같어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