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research
HCI
“이건 사용자의 멘탈모델과 맞지 않아요” UI에 대한 얘기를 하다 보면 많이 나오는 말중의 하나가 멘탈모델이다. 십몇년전에 한국HCI연구회에서 노만의 책을 가지고 스터디하다가 개념모형, 멘타모델이라는 용어를 처음 봤는데 이개념을 잡기
HCI
기업에서 마케팅, 상품개발 및 운영 등의 기업 경영을 위해서 시장 조사를 한다. 시장 조사는 시장점유율, 매출, 회계나 기술적인 것, 비지니스 모델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소비자에 대한 것일
HCI
과학적 연구방법이라는 것은 대개 세상에서 일어나는 결과에는 원인이라는 것이 있다고 보고 그 원인을 찾기 위해서 가설을 세워서 검증을 하는 식이다. 인과가 아니면 상관이라도 밝힌다. 원인을 알아내기 위한 실증적인
HCI
고객만족경영, 고객가치경영, 고객감동경영, 고객경험경영, 고객통찰경영 등등. 이런 경영전략은 시장이 수요보다 공급의 많아지면서 시작된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산자, 공급자 등의 기업의 가치사슬이 아니라 고객의 관점에서의 가치를 우선시 하는것으로 시작한다.
HCI
마우스 트래킹을 UX 사용성 테스트에 활용하기 : Userfly.com 에 대한 트랙백을 보내기 위해서 작성했습니다. 10 년 전쯤에 뇌과학 프로젝트로 제안을 해서 마우스와 브라우저의 HTML 이벤트를 잡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HCI
시기도 시기인 만큼 바보 노무현과 사람사는 세상 후에는 상이 끝나고 포스팅을 하려고 했는데, 이번주 월요일 세미나한 것에 대한 사진과 후기가 나와서 글을 쓰기로 했다. 5월 25일 씽크유저와 Tobii에서
HCI
사용자경험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 가 아이트래커 전문회사인 Tobii 와 공동으로 다음과 같이 아이트래킹 세미나를 개최한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아이트래킹 연구에 대한 세미나가 열리는 셈이다. 행사명: 사용자 리서치 및 사용자
Lifehack
인터뷰할때 미소짓기 난 인상이 별로 좋지 않은 모양이다. 내가 처음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한 것은 대학원때였다. 그때 팀원들은 “형은, 오빠는 인상이 안좋으니 이렇게 시작을 하세요” 라고 하면서 몇가지 멘트를
맥
컴퓨터로 파일들을 관리하다가 보면 파일 이름을 수정해야할 때가 생긴다. 내 경우에는 파일 확장자 보다는 거의 대부분 파일 이름을 수정한 것 같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확장자는 보통 해당 파일의 포맷이
HCI
사람들이 웹 사이트를 사용할때 마다 웹 브라우저는 사이트에 정보를 요청하면서 자기 정보도 보낸다. 그래서 그 사이트의 서버의 로그라는 것에는 간단한 사용자의 환경과 사용한 웹 페이지가 무엇인지 기록된다.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