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navigation
Lifehacking
제주에서는 제주시를 제외하고는 실시간 교통정보가 안 맞는 경우가 많아 실시간 교통을 끄고 다닌다.
Apple
아이폰의 Today 아이폰의 홈에서 오른쪽으로 스와핑하면 나오는 곳을 Today (오늘 보기) 라고 한다. (이미지 출처) 여기에는 아이폰 앱들이 today extension 을 제공하면 위젯 형태로 선택해서 보이게할 수
HCI
어느날 자동차에 내장된 네비게이션을 보고 가는데, 석양 무렵에 네비게이션 화면에 노을이 지는 것을 보았다. 어~ 신기하네 네비게이션에는 화면을 주간과 야간별로 구별해주는 옵션이 있고, 나중에 나온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앱에도 이런
Interaction Design
요즘 모바일로 웹 사이트나 앱을 사용할때 목록에서 페이지 번호나 다음 버튼을 누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그냥 스크롤 하면 자동으로 다음 페이지가 보인다. 종이 책 페이지징 페이지 번호 네비게이션
HCI
전형적인 종이책 만화 만화책은 한 페이지안에 만화만의 독특한 여러개의 박스로 되어 있지만, 페이지간의 네비게이션은 다른 종이책 처럼 한쪽 방향으로 넘어가게 되어 있다. 웹툰 웹툰의 경우에는 여러 박스의
Interaction Design
웹 페이지는 말 그대로 페이지라는 실제 세상의 페이지를 메타포 입니다. 오래된 얘기이지만 웹 페이지의 페이지 번호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다. 웹의 페이지 번호의 메타포 책을 읽을 때 현재
HCI
네비게이션 패널의 위치가 왼쪽에 있어야 하는가, 아니면 오른쪽에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에 대한 답은 아무 쪽이나 상관없는 것이 아닌가 싶다. 산업 표준은 왼쪽이지만, 본문을 볼 때에는 오른쪽에 있는
HCI
firefox 1.5 beta 1 에 와서야 탭 네비게이션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User in Control 의 사용성 원칙과 Drag & Dro 인터페이스를 알았다면 처음 부터 예측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