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seo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에 블로그나 다국어를 추가할 때, 서브도메인 vs. 서브디렉토리? 만약 홈페이지가 있는데 블로그도 만들고 싶다. 만약 홈페이지가 dobiho.com 이라면 블로그는 blog.dobiho.com 으로 하는게 좋을까? 아니면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 GTranslate 플러그인을 설치했다. 유료 구독을 결제했다. 트라이얼 기간 동안 예상하는 것과 같은지 확인하거나 이 플러그인 처럼 세팅하는데 사용한다. 한 가지 언어만 제공하는 커스텀 상품을 구독해서 en.dobiho.com 을 만들었다.
워드프레스
브레드크럼 브레드크럼(breadcrumb)은 동화, 헨델과 그레텔에 나오는 빵쪼각을 말한다. 1990년 후반 웹 초창기때 웹 사이트안에서 길을 읽지 않고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쉽게 페이지의 위치를 표시했다. 사이트안에서 웹 페이지의 현재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모바일에서 웹 페이지를 빠르게 보이게 하자는 구글에서 추진하고 있는 AMP (Accelerated Mobile Pages) 프로젝트를 적용했었다. AMP 를 적용하면 모바일에서 광고가 표시되지 않고 단순하게 표시되는데, 내 블로그는 원래
HCI
업무나 숙제 같은 것을 검색하다 보면 정말 딱 그런 내용이 있을 것 같은 검색 결과의 제목이 보인다. 그런데 들어가 보면 유료로 돈을 내야 볼 수 있는 대학생 리포트
HCI
작년에 블로그를 만들고 나서 검색엔진이 내 블로그를 얼마나 긁어 갔는지 아는 방법 을 썼습니다. 작년에는 dobiho.hci.or.kr 이란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었고, 작년 6월에 250개의 글이 있었습니다. 로그에서 user agent
Lifehack
워드프레스(wordpress)의 통계툴 중에서 StatTraq 이란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이 플러그인의 기능 중에는 Search Engine Saturation 메뉴를 보면 서치 엔진이 내 블로그의 글을 얼마나 긁어 갔는지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