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field research
HCI
일본 드라마중 <춤추는 대수사선> 는 형사드라마로 사건 뿐만 아니라 현장의 완서경찰서와 본청과의 관계에 대한 갈등이 일어난다. 그래서 옳은 일을 하려면 높은 자리에 가라 는 얘기가 나온다. 이런 갈등은, 실제
Lifehack
<에스키모에게 얼음을 팔아라> 란 책에 보면 1970년대 중반 질레트의 사장이었던 에드 겔스토로프는 항상 버스를 이용했다고 한다. 그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은 답을 했다. “우리 회사는 탈취제와 샴푸 생산
HCI
고객이 요구하는 것을 들어주는 것을 넘어서, 고객이 알아차라지도 못하는 것을 끄집어 내기 위해서는 고객의 삶 속으로 들어가 고객을 관찰하고 이해하고 공감해야 한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내용은 사람들의 일이나 생활에서
HCI
IDEO의 방법론 의 시작은 관찰로 최근 몇년 사이 HCI 에서는 문화기술학의 연구 방법을 이용해서 새로운 제품 아이디어를 얻거나 실제 사용자가 겪는 문제점을 찾는데 이용하고 있다. HCI 뿐만 아니라
HCI
사람들을 인터뷰를 할때 사람들이 말하는 진짜 의미나 의도를 알아아 한다. 제품과 관련된 인터뷰를 하다 보면 사람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표현을 한다. 그중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하다” 라는
HCI
관악산 등산과 기술수용주기모델에서 관악산 주변에 사는 사람 중에 저는 후기 수용자나 지각 수용자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산에서 내려오면서 생각한 것인데, 만약 제가 관악산 등산에 후기 수용자인지 알아내려면 어떻게 해야
HCI
필드 리서치, 포커스그룹 인터뷰, 설문조사, 사용성 테스트의 사전사후 인터뷰에서 사용자의 말을 어디 까지 믿을 것인가가 연구자에게는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말을 그 표현만으로 진실을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는 KTF
Interaction Design
태그: user research, hci, interview, research, field research, observation, user, user-centered, research problem, behavior science, customer strategy, customer needs
애자일 이야기의 사용자는 왕이다 하지만 이란 글에 대한 의견입니다. 사용자에게 직접 물어보는 것이 문제 닐슨이 얘기한 다음 내용은 사용성 공학이란 책에 있었던 것 같습니다. “디자이너는 사용자가 아니다”
HCI
필드 리서치(field research)는 실험실 연구 보다 더 참가자의 사생활 보호에 대해서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올해 연예인 X파일 사건 등의 여러 사건들로 인해서 개인 스스로 사생활 보호에 대해서
HCI
필드 리서치를 통해서 사람들이 구매할 상품을 선택하고, 구입하기 위해 여러 쇼핑 사이트를 탐색하고 비교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온라인 쇼핑을 할 때 Yahoo! My Web 2.0을 사이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