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education
Lifehack
60이 넘은 고모는 일반 중학교와 일반고등학교를 거처 음대를 갔고 졸업하고 시향에 있다가 독일 비엔나로 유학을 갔었다. 요즘 클래식 전공은 예원학교, 예술고등학교, 음악대학, 독일 유학의 순서를 밟는다. 경쟁이 치열해서 예술
Lifehack
공부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이런 저런 생각을 정리 해보았었다. 우연히 내 글을 다시 보았는데, 일본 드라마 <드래곤 사쿠라>에서 변호사가 일장 연성한 동영상이 깨져 있었다. 그때 화면을 캡처해서 만든
Lifehack
학생은 왜 공부를 해야 할까? 난 직장을 다니면서도 계속 공부를 하고 있는데, 이건 공부일까? 이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생각을 해 왔는데, 아이에게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얘기를 해주려다
HCI
중,고등학교때 어떻게 공부하는 것이 , 교사는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좋을까? 대학입시로 달려가면서도 ,참교육, 참배움을 둘다 할 수는 없을까? 지식경영의 권위자로 유명한 <노나카 이쿠지로> 의 < 생각을 뛰게하라>가 올해 번역이
Lifehack
우리집엔 매주 특강이 있다. 특강은 중학교 1학년, 초등학교 6학년이 돌아가면서 한다. 동영상으로 찍었는데, 1시간이나 했다. 질문하면 저요! 저요! 손을 들고, 틀렸다고 하거나 학생이 부연설명도 한다. 4살짜리 우리 여원이는
Workhack
초등 교사의 촌지 암시 가 있다. 그 2탄이다. 초중고가 일제히 전국 평가 시험을 치루었다. 그 성적이 나왔고, 성적 공개에 대한 이슈가 있다. 학부모들은 초등학생에게 무슨 성적인가에 대한 얘기를
Workhack
교사의 질문에 손을 들어도 거의 시켜주지 않을때, 친구들을 칭찬해도 스티커를 주지 않을때, 친구들에게 나쁜 말을 하는 아이가 칭찬 스티커를 받는다고 할 때, 이에 대해서 아이가 울면서 속상해 할때.성적순위를
HCI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명확한 목표와 관련된 글을 쓴 적이 있다. 또 필요를 절실하게 느껴야 한다고도 했다. 교육학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지만 살아가면서 본능적으로 느낀 것이다. 중고등학생들이 공부를 해야
HCI
교육을 겸해서 사용성 테스트 프로젝트를 기획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경험이 있던 사람이나, 실험을 해보았아도 사용성 테스트를 처음 해본 사람이나, 몇번 사용성 테스트를 관찰하기만 하는 사람이나 모두 이번 일에
Lifehack
학력은 평생간다 에서 학력에서 대해서 생각하면서, 어떻게 해야 공부를 할까를 더 생각해 보았다. 필요를 느껴야 공부할 이유가 있다 필요나 목표 만큼 큰 동기도 없을 것 같다. 학습도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