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성 vs. 사용성


심미성

시각 디자인은 제품의 룩앤필을 만들고 제품의 품질 속성 중 desirability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desirability 는 시각적인 룩앤필을 통한 감성 뿐만 아니라 기능, 시스템 성능, 좁은 의미의 사용성, 브랜드 등 여러 요소들이 상호작용을 한다. 그래서 제품에서 감성적인 부분을 뽑아서 측정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분야이기도 하다.

시각 디자인이 의미나 상징 없이 칼라나 레이아웃, 그림 등으로만 표현되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상징이나 의미적인 것이 많이 좌우한다. 그런 상징, 의미 부분에 대한 접근은 그 정도에 따라서 제품 자체의 컨셉, 마케팅의 컨셉, 기업의 이념 등과도 관련이 된다.

만약 제품을 보고 사람들이  “와~ 멋있다” “세련되었네~” 라고 하는데, 쓸려고 하면 “이거 뭐야? 이쁘긴 한데 못 쓰겠다” 또는 “이런게 뭐가 필요해?” 라고 하면 꽝이다.

포장지의 예, 디자~인 때문에 더 위험해진 교통 경찰 , 최근 서울 버스 안내판 등 수도 없이 많다.

그냥 “이야~ 이쁘다~” 가  목적이라면 사람들이 사용하는 도구의 시각 디자인을 하는 게 아니라 예술을 하거나 ,혼자서만 봐야 한다.

근데 사용하기는 쉬운데 어설프게 보이고, 만들다 만것 처럼 보이고, 세련되지 않는다면 신뢰도 안가고 쓰기도 싫어진다.   아무리 맛이 있어도 보기가 안 좋으면 꽝인 것은 매한가지이다.

사용성 vs. 심미성

이건 HCI 분야에서 오래된 이슈인 사용성과 심미성 의 대립이다. 결론은 서로 돕는것으로 끝난다.

이 이슈 후에 이쁜것은 사용하기도 쉽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쁘면 기분이 좋아져서 사용하기 쉽다고 느끼고 조금 어려워도 용서해준다는 것이다. 이게 도널드 노만이 이모셔널 디자인이란 책을 쓰게되는 배경이 되기도 한다.

그 후에 애플 제품인지 맥인지에 대한 어느 박사논문에서 이쁜게 사용하기도 쉽다고 느낀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이쁘면 뭐하냐 쓰기 편하면 되지, 쓰기 편하면 뭐하냐 이뻐야 사람들이 관심을 주고 기분도 좋자.

대립하지 말자. 둘다 잘 해야 하고 상황에 따라서 그 중요도가 달라지기도 한다.

1. 대립이 아니라는 것이 답이다.  둘 다 잘해야 한다.
한몸이니깐 말이다.


2. 제품의 시장 수용상황에 따라서 어느 한쪽이 강조되기도 된다.


물론 시장 초기는 유용성이 짱이다. 캐즘을 넘어가느냐는 사용하기 쉽냐와 얼마나 다른 사람들이 많이 쓰냐이다. 심미성은 그게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제품의 외양이라면 늘 같이 다닐 수 밖에 없다. 다만 그 강조가 달라질 뿐이다.

3. 경쟁 상황에 따라서 어느 한쪽이 강조되거나 둘다 잘 해야 한다.

시장의 이미 포화되어 있다면 이쁜 것이 차별화가 될 수 있다. 물론 기본적인 유용성과 사용성은 확보되어 있어야 할 수도 있고, 그냥 패션 소품의 의미라면 이쁜 것이 그런 것보다 더 중요하다.

마치며

시장 초기 부터 심미성으로 승부를 볼 수도 있다. 제품이나 서비스는 그 외양을 보고 느낀다. 봐야 살지 안살지 결정할 수 있고, 써보는 것은 더 시간이 걸리니깐 . 그리고 아까 언급한 것 처럼 이쁜 것은 사용하기도 쉬울 것 같고 더 있어 보이고 나를 더 돗보여 줄 수 있으니 너무 튀지만 않는다면 분명한 경쟁력이다.

노파심에서 언급하지만 심미성은 그냥 이쁜 정도가 아니라 제품의 본질을 보고 느끼게 해주는 것이고, 사용성은 사용하기 쉬운 정도가 아니라 제품의 유용성을 포함하고 있다.







제휴 링크로 구매 시 제휴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급받아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소중한 커피 한 잔 부탁드려도 될까요?

커피 사주기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글







스쿼트스타: 스쿼트 카운터

스쿼트하면 자동으로 횟수 측정, 횟수를 음성으로 세주고 스쿼트 속도 등의 분석, 일별/월별/연도별 운동 기록 관리









3 Comments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